단기합격전략
시험분석
[9급][지방직] 2025년 9급 지방직 일행/세무/사복/교행 필기 합격선 분석
2025.08.08
<br />
9급 지방직 공무원 시험에서 직렬별 채용여부와 인원규모는<br />
해당 지방자치단체(이하 ‘지자체’)의 행정수요와 인력상황에 따라 매년 변동되는 특징이 있다.<br />
일반적으로, 지자체의 필수적인 행정업무를 담당하는 직렬은 매년 안정적으로 많은 인원을 채용하는 반면,<br />
특정 전문분야의 인력이 필요 하거나 인력수요가 적은 직렬은 채용규모가 들쑥날쑥하거나 소수의 인원만 선발하는 경향이 뚜렷하다. <br />
<br />
우선, 지자체의 주요 행정업무를 수행하는 직렬인<br />
일반행정직과 세무직, 사회복지직은 매년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하는 대표적인 직렬이다.<br />
지역별 교육청은 교육행정직이 이에 해당한다.<br />
반면, 특정 전문분야에 속하거나 인력수요가 상대적으로 적은 직렬들은 채용규모가 유동적이다.<br />
대표적인 직렬로는 사서직, 방호직, 농업 및 임업 등 기술직군 직렬들이 이에 해당한다.<br />
사서직은 해당 지역의 도서관 신설이나 기존 인력의 퇴직 상항에 따라 채용이 주로 이루어지며,<br />
방호직은 청사 시설관리 및 보안을 담당하는데 결원이 발생할 때만 소수 인원을 채용하는 경향이 강하다.<br />
또한, 기술직군의 농업직, 임업직 등은 지역별 시/군/구의 읍/면 단위에서 해당 직렬의 인력 수요가 발생할 경우 채용이 이루어지며,<br />
인력수요 자체가 한정적이어서 채용규모가 크지 않은 편이다. <br />
<br />
이처럼 9급 지방직 공무원 시험에 지원하고자 하는 수험생은<br />
각 지역의 직렬별로 채용여부와 규모가 상이함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지원할 직렬을 선택해야 한다.<br />
일반행정직, 세무직, 사회복지직, 교육행정직과 같이 지방직에서 꾸준히 많은 인원을 선발하는 직렬은 경쟁률이 높은 편이지만<br />
안정적인 채용 기회가 주어지고, 소수 인원을 선발하는 직렬은 상대적으로 경쟁률이 낮고<br />
해당 분야의 전문성을 가진 응시자에게 유리할 수 있으므로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자신에게 맞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. <br />
<br />
이번 컨텐츠에서는 지방직의 여러 직렬 중에서도<br />
매년 정기채용을 실시하는 주요 직렬인 일반행정직, 세무직, 사회복지직, 교육행정직을 기준으로<br />
2025년 9급 지방직 공채시험의 지역별 필기 합격선을 비교 분석했다. <br />
<br />
<br />
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16px;"><strong>9급 지방직 일행/세무/사복/교행 연도별 필기 합격선 변화 </strong></span><br />
<br />
먼저 각 직렬의 연도별 합격선 추이를 살펴보면 일반행정직의 경우,<br />
2023년 85.8점에서 2024년 82.9점, 2025년 82.8점으로 소폭 하락하며 80점대 중반의 높은 합격선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.<br />
세무직은 2023년 79.3점, 2024년 79.6점으로 70점대 후반을 유지하다가 2025년 77.9점으로 소폭 하락했다.<br />
이처럼 일반행정직과 세무직의 합격선은 지난 3년간 비교적 좁은 범위에서 변동하며 안정적인 패턴을 보였다.<br />
<br />
반면, 사회복지직과 교육행정직은 변화의 폭이 다소 크게 나타났다.<br />
사회복지직은 2023년 78.8점에서 2024년 82.2점으로 크게 상승했으나, 2025년에는 72.4점으로 다시 급락했다.<br />
반대로 교육행정직은 2023년 85점에서 2024년 86.3점, 2025년 90.4점으로 꾸준히 상승하여,<br />
특히 2025년에는 평균 90점대의 높은 합격선을 기록하며 주요직렬 중 가장 높은 합격선을 형성했다. <br />
<img alt="" height="1200" src="//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st.dangidata/dangiadm_dangicokr/data/file/ckeditor/7dc1eee5276bf390aabc12e38a7dc7fe.png" width="746" />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span style="font-size:16px;"><strong>2025년 9급 지방직 일행/세무/사복/교행 지역별 필기 합격선 </strong></span><br />
<br />
주요 직렬의 지역별 합격선을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우선,<br />
▲<strong>일반행정직</strong>은 대구와 부산이 92점의 최고 합격선을 기록하며 강세를 보였다.<br />
특히 부산은 작년 대비 4점 상승했다. 반면 최저 합격선은 72.4점의 강원이었다.<br />
▲<strong>세무직</strong>은 부산이 86점으로 최고 합격선을 기록하며 작년에 이어 높은 합격선을 보였다.<br />
반면 최저 합격선은 65점의 인천으로, 수도권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지역에 비해 합격선이 낮게 형성되는 모습을 보인다.<br />
▲<strong>사회복지직</strong>도 전반적으로 필기 합격선이 하락했다.<br />
부산이 88점으로 최고점을 기록했으며, 최저 합격선은 66점인 인천이었다.<br />
대전 또한 무려 13점 하락하며 72점을 기록했다.<br />
매년 높은 합격선을 기록하는 ▲<strong>교육행정직</strong>은 합격선이 전반적으로 하락한 다른 직렬과 달리 대부분의 지역이 합격선이 상승했다.<br />
서울과 전북이 95점으로 최고점을 기록하며 압도적인 합격선 강세를 보였고,<br />
전남이 유일하게 합격선이 하락하며 82점으로 최저점을 형성했다. <br />
<img alt="" height="1304" src="//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st.dangidata/dangiadm_dangicokr/data/file/ckeditor/676fdca0f08ed2a8e0d90c146a6fac3b.png" width="746" /><br />
<br />
<br />
각 직렬의 지역별 필기 합격선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,<br />
<strong>일반행정직</strong>은 전국적으로 합격선이 하락했지만, 일부 지역은 높은 점수를 기록하며 강세를 유지했다.<br />
전국에서 가장 높은 합격선은 92점인 대구와 부산이었고, 대구는 작년 대비 2점, 부산은 4점 상승했다.<br />
울산은 90점, 광주는 89.5점을 기록하며 높은 합격선을 형성했다.<br />
서울은 88점으로 작년 대비 1점 하락했다.<br />
합격선이 대폭 상승한 지역으로는 부산 4점, 울산 3점, 대구 2점, 세종 2점 등이 있었다.<br />
특히 부산과 울산의 상승 폭은 눈에 띈다. 반면, 합격선이 크게 하락한 지역도 많았다.<br />
충남은 5점 하락하며 전국에서 가장 큰 폭의 하락을 기록했다. 전남은 3.4점, 인천은 2.7점, 대전은 2점 하락했다. <br />
<br />
<strong>세무직</strong>도 일반행정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. 전국에서 가장 높은 합격선은 86점인 부산이었고,<br />
작년과 동일한 합격선을 기록했다. 이어 광주, 대전, 서울, 제주는 84점으로 높은 합격선을 형성했다.<br />
특히 제주는 작년 대비 3점 상승하며 강세를 보였으며, 충남 역시 3점 상승했다.<br />
반면, 합격선이 대폭 하락한 지역도 많았다. 충북은 전국에서 가장 큰 폭인 8.7점 하락을 기록했다.<br />
경남은 6.6점, 울산은 5점, 인천은 6점 하락했다. <br />
<br />
<strong>사회복지직</strong>의 지역별 필기 합격선은 일반행정, 세무직이 비해 지역 전체 평균 합격선이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.<br />
이러한 경향 속에서도 전국에서 가장 높은 합격선을 기록한 지역은 88점으로 광주와 부산이었고,<br />
부산은 작년과 동일한 수치를 기록한 반면 광주는 1점 하락했다.<br />
이어 대구와 세종도 85점으로 높은 합격선을 형성했다.<br />
반면, 합격선이 대폭 하락한 지역도 나타났는데,<br />
대전은 작년 대비 무려 13점 하락하며 전국에서 가장 큰 폭의 점수 하락을 기록했다. 인천 역시 13점 하락했다.<br />
충북은 10.2점, 경남은 7.5점, 전남은 6.3점, 서울과 경기 또한 각각 6점 하락했다.<br />
울산은 2025년에 사회복지직을 채용하지 않았다.<br />
이처럼 필기 합격선은 다양한 내외부 요인으로 인해 매년 변동되므로<br />
내년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은 단순히 한해의 합격선만을 기준으로 지역을 선택하는 것을 지양해야 하며,<br />
여러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철저한 대비를 해야 한다.<br />
<br />
채용기관이 지역별 지자체인 일반행정직, 세무직, 사회복지직과 달리<br />
각 지역의 교육청인 <strong>교육행정직</strong>의 필기 합격선은 전반적인 상승세를 보였다.<br />
이는 교육행정직에 대한 선호도가 여전히 높으며 교육행정직은 국가직과 지방직 모두에서 인기 직렬임을 반영한다.<br />
또한 교육행정직은 전년도에 비해 특히 지방직 채용인원이 감소한 것도 합격선 상승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.<br />
전국에서 가장 높은 합격선을 기록한 지역은 95점으로 서울과 전북이었고,<br />
서울은 작년 대비 8점, 전북은 4점 상승하며 압도적인 강세를 보였다.<br />
특히 서울은 큰 폭의 상승으로 수도권 지역의 높은 경쟁률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.<br />
강원, 대전, 부산, 울산, 제주 등도 92점으로 높은 합격선을 형성했으며, 이들 지역 대부분은 작년 대비 4점 이상 상승했다.<br />
광주와 경기, 대구 역시 91점으로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.<br />
합격선이 가장 크게 상승한 지역은 9점 상승한 강원이었고,<br />
그 외 경기 7점, 경북 7점, 울산 7점, 인천 6점, 광주 5점, 제주 5점, 대전 4점 등 대부분의 지역에서 큰 폭의 상승이 나타났다.<br />
반면, 전남은 유일하게 3.0점 하락했다.<br />
이번 시험결과는 교육행정직 합격을 위해서는 필기시험 고득점 확보가 매우 중요함을 보여준다.<br />
따라서 교육행정직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이라면 더욱 철저한 학습 계획을 세워 안정적인 고득점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.<br />
<br />
<img alt="" height="758" src="//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st.dangidata/dangiadm_dangicokr/data/file/ckeditor/e075eae3e598e902d488d9d82b5909e5.png" width="750" /><br />
<img alt="" height="717" src="//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st.dangidata/dangiadm_dangicokr/data/file/ckeditor/0940222fe8cae3cce9a9c77672d16c35.png" width="750" /><br />
<img alt="" height="717" src="//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st.dangidata/dangiadm_dangicokr/data/file/ckeditor/f455c6fe3c97d7cb78d892dc934da269.png" width="750" /><br />
<img alt="" height="717" src="//s3.ap-northeast-2.amazonaws.com/st.dangidata/dangiadm_dangicokr/data/file/ckeditor/a525938d31ea1bbac57a613c0412b6f5.png" width="750" />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br />
<strong><a href="https://gong.conects.com/exam_info/employment_info" target="_parent"><span style="color:#000066;">▶ 9급 지방직 지역별 채용인원/경쟁률/합격선 ></span></a></strong><br />
<br />